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스프링
- 자바
- 비전공
- Statement
- 자바스크립트
- Java
- Servlet
- SpringBoot
- 국비학원
- db
- 코딩
- CachingOperationNameGenerator
- preparedstatement
- Stack
- Spring
- 오라클
- 서블릿
- Thymeleaf
- Session
- JavaScript
- List에 객체 같은 값
- JSP
- 스프링로그
- 타임리프
- 객체 주소
- 스프링부트로그
- Heap
- MVC
- JDBC
- scanner
- Today
- Total
목록더 알아보고 싶은데? (28)
sin prisa pero sin pausa
GET/POST 방식 GET방식은 HTTP HEADER에 데이터 값을 포함해서 서버로 전송하는 방법으로 URL 상에 이름과 값으로 데이터가 포함이 되어있기 때문에 보안에 취약하다는 단점이 있으며 보낼 수 있는 길이에 제한이 있다는 단점이 있다. POST 방식은 HTTP BODY에 데이터 값을 포함해서 서버로 전송하는 방식으로 클라리언트에게 전송 데이터값이 보이지 않기 때문에 보안에 더 강하다는 장점과 쿼리스트링과 같은 문자열 이외에도 라디오 버튼이나 체크박스 등의 객체 형태의 값을 전송할 수도 있다. SESSION과 COOKIE 세션은 웹 브라우저에 사용자가 머무는 기간 혹은 사용자의 1회의 방문 횟수를 뜻하기도 한다. Session 값은 server에 저장이 되기 때문에 웹 브라우저가 종료되거나 서버 ..

Web Socket이란? 1. HTTP 프로토콜을 이용한 양방향 데이터 전송 통신 2. 브라우저와 웹 서버간의 전이중 통신을 지원하는 프로토콜 (전이중(Full Duplex)통신 : 두 단말기가 데이터를 송수신 하기 위해 각각 독립된 회선(기본적인 HTTP규약 요청/응답 흐름이 X)을 사용하는 것) 3. 두 프로그램 간의 메시지를 교환하기 위한 통신 방법 중 하나 4. W3C와 IETF에 의해 자리잡은 표준 프로토콜 중 하나 5. 현재 인터넷 환경(HTML5)에서 많이 사용된다. 6. 웹 소켓을 지원하는 브라우저의 경우는 웹소켓 프로토콜을 지원한다. 특징 1. 양방향 토신(Full-Duplex) 데이터 송수신을 동시에 처리 -클라이언트와 서버가 서로 원할 때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다. -통상적인 Htt..

스프링 컨트롤러에서 ajax에 대한 응답을 반환하려면 어떻게 해야할까? 스프링 @Controller는 forward와 redirect만 가능하기 때문에 화면의 일부만 바뀌는 ajax와 같은 비동기 통신이라면 다른 방법으로 반환을 해줘야 한다. 여기서 쓸 수 있는 어노테이션이 바로 @ResponseBody 더보기 [해석] @ResponseBody는 웹 reponse body로 값을 반환하는 주석이다. 뷰 이름으로 해석되지 않으며 HTTP 메시지 변환기를 사용하여 요청 HTTP 헤더의 콘텐츠 유형을 기반으로 반환 값을 HTTP 응답 본문으로 변환한다. => ViewResolver가 결합되어 response header에 담기는 view 주소가 아닌 반환값 그대로의 값을 response body에 담아서 보내..
@ControllerAdvice public class ExceptionController { @ExceptionHandler(Exception.class) public String exceptionHandler(Exception e, Model model) { e.printStackTrace(); model.addAttribute("errorMsg", "서비스 이용 중 문제가 발생했습니다."); return "common/error"; } //이렇게 Exception 세분화도 가능 @ExceptionHandler(SQLException.class) public String exceptionHandler(Exception e, Model model) { e.printStackTrace(); model.a..
@Controller @RequestMapping(value = "/member/*", method = RequestMethod.GET) @SessionAttributes({"loginMember"}) public class MemberController { @Autowired private MemberService service; @RequestMapping("signUp") public String signUp(){ return "member/signUp"; } @RequestMapping(value="login", method=RequestMethod.POST) public String login(Member inputMember, Model model, RedirectAttributes ra, @..

redirect 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매개변수로 RedirectAttributes를 실어주고 addFlashAttributes메소드를 이용한다. (잠깐 반짝!하고 session에 값이 올라간다고 기억하자) RedirectAttributes는 본래 request scope였다가 redirect 중에는 session scope로 변환되어 값이 session에 올라가고 값이 redirect된 곳으로 넘어감과 동시에 다시 request scope로 변하게 된다. 따로 remove구문을 사용해 jsp에서 session에 올라간 값을 없애주는 수고를 하지 않아도 된다. 만약 로그인을 실패했을 때 session에 실패 구문을 실어보냈다고 했을 때, 이후에 jsp에서 session에 올라간 값을 제거할..

1. web.xml 더보기 1. web.xml은 자바 Web application 설정파일(Configuration file)이다. 2. WAS(Web Application Server)가 구동될 때 처음으로 읽어지는 파일이며 반드시 하나의 web.xml을 포함한다. 3. Web application 로딩 시 메모리에 로딩된다. 4. 표준 deployment descriptor(배포 서술자) 이며, 브라우저가 자바 서블릿에 접근(요청, 응답받기)하기 위해 로드되어야 하는 서블릿과 서블릿에 매핑되는 URL을 정의한다. 왜? WAS(ex.톰캣)은 서블릿을 관리하고 제어하는 주체이기 때문에 그에 대한 정보를 web.xml을 통해 알려주는 것 5. WEB-INF 디렉토리에 위치한다. 6. 서비스를 위한 필터와 ..

@Controller가 실제로 인식이 되고 객체화될 수 있어야 하기 때문에 component-scan을 통해 어노테이션을 찾아 인식할 수 있게끔 설정해준다. 하지만 이 작업은 클래스를 로드하고 객체화하기 위한 작업이다. 그렇게 때문에 URL매핑(@RequestMapping)은 이 설정으로 찾아지지 않고 annotation-driven 설정을 따로 해줘야 한다. 이 두가지 설정이 모두 있어야 컨트롤러 어노테이션을 사용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