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Tags
- 서블릿
- 코딩
- 스프링
- 타임리프
- 오라클
- CachingOperationNameGenerator
- List에 객체 같은 값
- Servlet
- MVC
- JavaScript
- JDBC
- 비전공
- SpringBoot
- JSP
- 국비학원
- Statement
- 스프링부트로그
- 객체 주소
- Stack
- Thymeleaf
- preparedstatement
- db
- 자바
- Session
- 스프링로그
- 자바스크립트
- Java
- Spring
- scanner
- Heap
Archives
- Today
- Total
sin prisa pero sin pausa
[Spring] IoC Container와 Bean 본문
반응형
클래스라는 것은 그 자체로는 기능을 못하고 객체로 만들어져야 하는데
스프링에서 @Controller라는 어노테이션을 만들어주고 @RequestMapping을 해준다고 해서 객체가 어떻게 만들어지냐
web.xml에서 component-scan에서 이미 @Controller, @Service, @Repository라는 친구들을 다 찾아서
Bean으로 가지고 있게 된다.
또 annotation-driven이 @ReuqestMapping, @ExceptionHandler를 읽어
어떤 Controller로 보내질지 방향성이 정해진다.
그러니까 우리는 컨트롤러로 사용할 클래스를 new 로 굳이 객체 생성 안해줘도
요청이 들어왔을 때 IoC 컨테이너에서 Bean으로 객체생성이 된다.
반응형
'더 알아보고 싶은데?' 카테고리의 다른 글
[Spring] AOP(Aspect Oriented Programming)란? (0) | 2021.07.18 |
---|---|
[Spring] Controller에서 파라미터 값 가져오는 방법 (0) | 2021.07.16 |
[Spring] POJO(Plain Old Java Object) 기반 프레임워크 (0) | 2021.07.15 |
[Spring] Dependency Injection(DI) 와 IoC Container (0) | 2021.07.13 |
json을 이용해 JAVA로 영화진흥위원회 API 영화 목록 오라클 DB에 저장하기 (0) | 2021.07.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