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n prisa pero sin pausa

[Spring] IoC Container와 Bean 본문

더 알아보고 싶은데?

[Spring] IoC Container와 Bean

EstherDmt 2021. 7. 16. 11:04
반응형

클래스라는 것은 그 자체로는 기능을 못하고 객체로 만들어져야 하는데 

스프링에서 @Controller라는 어노테이션을 만들어주고 @RequestMapping을 해준다고 해서 객체가 어떻게 만들어지냐

 web.xml에서 component-scan에서 이미 @Controller, @Service, @Repository라는 친구들을 다 찾아서

Bean으로 가지고 있게 된다. 

또 annotation-driven이 @ReuqestMapping, @ExceptionHandler를 읽어 

어떤 Controller로 보내질지 방향성이 정해진다.  
그러니까 우리는 컨트롤러로 사용할 클래스를 new 로 굳이 객체 생성 안해줘도 
요청이 들어왔을 때 IoC 컨테이너에서 Bean으로 객체생성이 된다. 

반응형